반응형
보다 더 쉬운 스트로보 사용을 위해서 몇자 적겠습니다.
(FEL 버튼이 따로 없는 1D 급 이하 바디 사용자만 해당 됩니다.)
1. FEL 의 중요성
스트로보 발광량을 결정 짓는 요인은 크게 3가지 입니다.
첫번째!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하는 메뉴얼 모드
이 방법의 가장 큰 단점은 역시 신속성 입니다. 또한 익숙하지 않는 사용자는 정확도 까지 떨어져서 발광량을 얼마만큼 해야 할 지
결정 짓기 어렵습니다. 게다가 빠른 촬영을 해야하는 결혼식장 같은곳에서 스트로보를 메뉴얼 모드로 사용하기란 너무나 어렵습니다.
두번째! E-TTL 모드
이름도 거창한 E-TTL 모드는 셔터만 누르면 바디가 알아서 자동으로 스트로보 발광량을 결정 짓는 모드입니다.
조작이 필요없기때문에 아주 신속하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발광량을 플래시 노출보정 이라는 기능으로 해야 하며 화면 전체의 밝기를 고려해 발광량을 결정짓는 모드이기에 배경과 모델의 밝기 차이에 따라서 정확한 발광량을 결정짓기에는 부족합니다.
세번째! FEL
스트로보를 사용하게 되면 * 표시 (기존의 AEL 버튼) 이 FEL 기능으로 바뀌게 되는데 스폿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에 스트로보를 터트려 그 영역에 알맞는 발광량을 결정 짓는 모드 입니다. 버튼 한방으로 발광량을 결정 지을수 있어 비교적 빠르며 스폿영역을 기준으로 하기때문에 정확한 발광량을 계산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스트로보 사용시 FEL 은 필수 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다음 으로 넘어가서
바디의 모드를 살펴 보겠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조리개 우선모드와 메뉴얼 모드만을 논하겠습니다.)
첫번째 메뉴얼 모드
메뉴얼 모드의 장점은 사용자가 직접 노출값을 지정해 준다는 것입니다.
스튜디오의 촬영이나 정물사진은 메뉴얼 모드로 할 수 있지만 수시로 노출값이 바꿔주어야 하는 행사 또는 인물 촬영시에는
신속하지 못하므로 사용하기 힘듦니다.
두번째 조리개 우선모드
아마 DSLR 유저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모드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조리개만 결정 지어주면 셔터스피드가 알아서 계산되는 모드입니다.
우리가 원하는 것은 조리개 우선모드를 사용하면서 스트로보를 사용하고 FEL 까지 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글을 읽으시는 분들중에는 그게 뭐 어려워 ? 조리개 우선모드로 하고 그냥 *버튼 눌러서 FEL 하면 되는거 아냐?
라고 할 수 있겠지만
문제는 노출고정 입니다.
기존의 * 버튼이 스트로보를 사용하면서 FEL기능으로 바뀌어 버렸기 때문에 AEL 기능을 할 수 없다는 것이지요
그러나 해답은 있습니다
바디의 측광 방식을 평가 측광으로 이용하는 것인데 이 평가측광은 스팟, 부분, 중앙중점평균 과는 다르게 반셔터 만으로 노출이
고정되게 되어있습니다. (반셔터를 누르고 구도를 바꿔도 노출값이 변하지 않을겁니다.)
TIP-----------40D , 50D , 5D MARK II 바디는 사용자 설정을 변경하여 AF-ON 버튼을 초점구동, 반셔터를 노출고정, *버튼을 FEL 기능
으로 변환 하여 사용 할 수는 있지만 조작방법이 어렵습니다 ;;
결론 -
제품촬영 등의 촬영환경이나 스튜디오 같이 노출값이 바뀌지 않는 곳에서는 바디를 M 모드로 놓고 여러번 촬영하여 결과물을 보면서
바꿔가는것이 편하나
결혼식장이나 일반적인 인물촬영에서는 바디를 메뉴얼 모드로 사용하기에는 원하는 타이밍을 놓칠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가장 편한 셋팅인 조리개 우선모드를 사용하고 * 버튼으로 발광량을 결정 지어 주면서 평가측광을 사용하면
어느정도 망치지 않는 사진을 건지 실수 있을겁니다.
여기에 한가지 더 추가한다면 노출보정 기능과 스트로보 노출보정 기능인데요 이 두가지 기능을 추가로 활용하면 스트로보 사용이
그렇게 어렵지만은 안을 거라 생각됩니다.
마지막으로 한가지더 평가측광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 기능이 어떻게 작동되는지 알아야 합니다.
예전 제가 적은 내용을 퍼왔습니다.
--------------------------------------------------------------------------------------------------------
캐논 측광모드 바로알기
--------------------------------------------------------------------------------------------------------
40D 의 측광모드는 다들 알다싶이
1.평가측광
2.부분측광
3.스팟측광
4.중앙중점평균측광 이 있습니다.
평가측광부터 차례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 화면이란 뷰파인더를 의미합니다)
1.평가측광
화면을 전체적으로 측광하는 방법입니다.
단!. 측거점이 모두 활성화 되어 있을경우에만 화면을 35분활하여 측광합니다
측거점이 가운데 만 활성화 되어 있다면 가운데를 중점으로 천체적으로 측광합니다.
예)왼쪽측거점만 활성화 되어 있으면 왼쪽 측거점을 중점으로 천체적으로 측광합니다.
2.부분측광
화면의 약 9% 를 측광합니다.
측거점에 상관없이 가운데 측거점을 중점으로 9% 측광입니다.
3. 스팟측광
화면의 중앙 동그란 원 부분만을 측광합니다.
역시 측거점에 상관없이 가운데 동그란 원입니다.
범위는 약 3.8% 로 알고있습니다.
뷰파인더의 3.8%가 이렇게나 넓을까 생각되시겠지만..
그게 3.8% 맞씁니다^^;;;
4. 중앙중점평균측광
화면의 중앙을 측거점을 비롯하여 화면 전체를 측광합니다
(평가측광설정후 가운데측거점 선택시와 거의 동일합니다)
----------------------------------------------------------------------------------------------------
[캐논] 평가측광으로 스트로보 사용시 바디 알고리즘
----------------------------------------------------------------------------------------------------
http://paulus85.tistory.com/451
(발췌) SLRClub ⓟⓐⓤⓛⓤⓢ⑧⑤™ 님의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