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어두운 실내 처럼 좀 더 스트로보가 많이 사용되는 환경에서 도움이 드리고자 실질적인 이야기를 해볼까합니다.
스트로보 많이 써보시면 아시겠지만 많은 사람들이 직광으로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피사체는 환하고 배경은 어둡게 나오거나 아니면 배경은 주황색이고 피사체는 하얗게 나오기 때문입니다. 결국 옴니바운스를 쓰거나 천정바운스를 사용하면 측광과 발광을 위한 모든 것들이 무의미해지는 거죠. 또 좀 어두운 실내에서 조리개 모드는 정말 특별하게 찍는 경우를 제외하고 셔터 스피드가 절대 나오지 않으니 사용불가입니다.
ISO값을 미련하게 높이고 찍으면 가능하지만 입자가 굵어져서 비추입니다.
그래서 자연스러운 사진을 위해서 옴니 바운스를 사용하거나 천정바운스를 쓰죠.
그럼 결국 측광이고 뭐고 아무 소용없어요. 현장 여건에 맞춰서 셈플 사진 찍고 조리개와 셔터스피드 조정해서 찍습니다. 일단 ISO200~400정도로 두세요. 왜냐하면 스트로보 연사시 배터리 재충전 시간을 단축하기 위함입니다. 아시겠지만 ISO낮추면 발광이 강해지고 높이면 스트로보 발광이 약해지죠. 발광이 강해지면 배터리 소모량도 많아지고 플래시 발광을 위한 충전 시간도 오래걸립니다. 뭐 수명도 짧아지죠.
사람들 눈도 많이 부시구요. 다만 ISO를 800 이상 너무 높이면 상대적으로 스트로보가 약해져서 스트로보 효과도 떨어지고 입자도 굵어집니다. 또한 다른 광원 즉 백열등 색으로 인해 얼굴 색이 이상해집니다. 따라서 200~400정도가 적당합니다.
다음 셔터스피드는 60~125 정도를 놓습니다. 그럼 f3.2~4.5 정도면 어지간한 천장 높이에서 효과적으로 밝고 자연스러운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천정이 높을 수록 천정이 어두운 색일 수록 조리개를 열어주거나 셔터스피드를 낮춰주면 됩니다. 단 거리가 다른 사람들 즉 앞에 앉아있고 뒤에 서있는 사람을 한거번에 찍을 경우 조리개를 조여야 하므로 f4.5~5정도에 셔터스피드를 낮춰주세요. 반대로 사람이 움직임이 많을 경우에는 조리개를 2.8 정도로 하더라도 셔터 스피드는 좀 높여주시구요.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현장에서 미리 수동으로 천정 바운스로 테스트 사진 찍어보고 약간 몇 스텝씩 조절해서 찍으면 됩니다. 일단 적당한 값이 결정되면 순간포착에만 신경쓰시고 마구 찍으세요. 그리고 저는 약간씩 차이가 나는 사진은 RAW파일로 찍어서 보정으로 마지막 노출조절을 합니다.
결론 : 실내에서는 M 모드
ISO 200-400
셔터 1/60 - 1/125 사이
조리개 F3.2-4.5
사진관/초보탈출 DSLR
[500D] 배워보자 스트로브 (1)
반응형
반응형